티스토리 뷰

  • HTTP의 특징인 무상태와 비연결성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 한다.

무상태 (Stateless)

HTTP의 상태 유지

  • 상태 유지(Stateful) : 중간에 작업을 하던 서버가 바뀌면 안 된다.
    -> 혹여나 바뀌더라도 바뀐 서버가 정보를 그대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.
  • 무상태 (Stateless) : 중간에 서버가 바뀌어도 된다.
    -> 응답 서버를 쉽게 바꿀 수 있어 서버 증설이 아주 용이하다.

상태 유지 프로토콜 / Stateful

  • 상태 유지 프로토콜에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모두 기억하고 있다.
  •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내역이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, 클라이언트는 처음부터 다시 요청해야 한다.

무상태 프로토콜 / Stateless

  •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억하지 않는다.
  •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를 한 번에 요청하기 때문에 어떤 서버에 요청하든 같은 값을 가져온다.
  • 서버 확장에 용이

무상태 프로토콜의 한계

  • 모든 요청을 무상태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
  •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-> 로그인 기능의 경우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.
    -> 브라우저 쿠키, 서버의 세션, 토큰을 사용해서 상태 유지 가능

 

비연결성 (Connectionless)

Connection Oriented

  • TCP/IP의 경우 연결을 유지
  • 요청을 보내지 않더라도 연결을 유지해놓음
    -> 서버의 자원이 계속해서 소비됨

Connectionless

  • 기본적인 HTTP의 연결 특징
  • 비연결성을 가지는 프로토콜의 경우 TCP/IP 연결 후,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고 연결을 끊어버린다.
  • 최소한의 자원으로 서버 유지 가능

Connectionless의 한계

  • 트래픽이 많지 않고, 빠른 응답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, Connectionless는 효율적으로 작동한다.
    반대로 트래픽이 많고, 큰 규모의 서비스를 운영하는 경우 Connectionless는 비효율적이다.
  • TCP/IP 연결을 계속해서 연결하고 끊는 과정이 필요 -> 시간이 추가된다.
  • 브라우저로 사이트 요청 시 수많은 리소스가 다시 다운로드된다. (JS File, image)
  • 현재 HTTP 지속 연결 (Persistent Connections)로 해결
    -> 모든 자원에 대한 응답이 돌아온 이후에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

'지나가는 개념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enerator 함수  (0) 2022.04.29
Cookie/Session & Token(JWT)  (0) 2022.04.01
OAuth  (0) 2022.03.18
Lazy Loading 이란?  (0) 2022.03.15
Web Storage  (0) 2022.03.15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1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